* 이 글에서는 롯데월드 어드벤처를 간략하게 롯데월드로 표현합니다.
* 해당 글의 조사 및 논의는 2022년 5월 이루어져 현재와 시설 혹은 명칭이 다른 경우가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명색이 테마파크 스터디인데 국내 테마파크 양대 산맥을 안 짚을 수가 없다.
이번에 다룰 롯데월드는, 유원지에서 시작한 에버랜드와 달리 처음부터 스토리가 담긴 공원, 테마파크를 표방하며 시작했다. 롯데월드의 초기 가이드 맵을 보면 '작은 지구 마을'¹이라는 테마에 맞추어 구역을 각 나라의 거리에 따라 어트랙션과 건물을 조성했다고 되어 있다. 이는 지금까지 남아 있는 '후렌치 레볼루션', '스페인 해적선' 등의 이름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¹ 그러나 현재 이런 컨셉이 남아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은 극히 적다. 이런 점에서 국내 테마파크의 현 주소와, 역사와 미래를 살펴보기엔 롯데월드 어드벤처는 아주 좋은 표본이다. 이번 글에서는 그 중 현 주소의 일부와 역사를 다뤄보고자 한다.
롯데월드는 세계 최초 실내 테마파크라는 타이틀로 개원했다. 또 다른 국내 대표 테마파크로 거론되는 에버랜드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실내 파크인 롯데월드의 장점은 기상 등 외부의 영향을 덜 받는다는 점이다. 물론 롯데월드는 야외 공간도 있기에 다른 실내 파크보다는 기상의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지만, 일반적인 야외 파크보다는 낫다는 사실을 다음 그래프에서 알 수 있다.
최근 가장 피크였던 2019년 입장객 추이를 보면, 에버랜드가 평균 입장객 수는 더 많은 반면 롯데월드는 1년 동안 고른 입장객 분포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추운 겨울에는 롯데월드를 에버랜드보다 더 많이 찾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이 실내 테마파크인 롯데월드의 가장 큰 장점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 점이 단점으로 작용했다. 라이벌인 에버랜드와 비교했을 때 총 입장객 수는 21년 기준 에버랜드 약 371만명, 롯데월드는 약 246만명으로 에버랜드가 약 1.5배 많았다.² 코로나의 영향으로 장점이었던 실내가 단점으로 변한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제는 코로나로 인한 거리두기가 완화되어 입장객 수를 점차 회복할 것으로 전망된다.
롯데월드는 지하철역(잠실역 2호선, 8호선)과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세계 어디를 봐도 찾아보기 힘든 입지 조건이다. 도심 한복판에 위치한 롯데월드는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아 지방 및 해외에서 방문하기 용이하다. 이런 연유로 파크 내에서 체험학습을 온 학생들을 자주 볼 수 있다. 또한 롯데타워, 롯데백화점, 롯데몰, 롯데호텔 등 롯데가 소유한 상업 시설이 인근해 테마파크 외 즐길 시설이 많다는 점도 장점이다.
롯데월드는 국내에서 흔히 볼 수 없는 매직패스 프리미엄권을 따로 판매한다. 매직패스를 구매하면 줄을 서지 않고 우선 입장이 가능하다. 미국 디즈니랜드와 유니버설 리조트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익스프레스 패스와 유사한 상품이다.
처음 시작은 모바일 앱을 이용한 무료 선착순 서비스로 시작했으나 유료 한정 판매로 전환하면서 방문객 사이에서 많은 의견 차이를 보이고 있다.
Q. 우선 탑승권은 방문객에게 유리한 서비스인가?
디즈니랜드의 지니 플러스, 유니버설 리조트의 익스프레스 티켓처럼 글로벌 테마파크들도 유료 우선 탑승권을 판매한다. 이 두 글로벌 테마파크의 경우 입장권이 다소 비싸지만 새로운 구역이나 어트랙션, 서비스를 개발하는 등 입장료가 테마파크 투자로 이어진다는 사실이 방문객에게 와닿기 때문에 방문객들이 비싼 값을 감안하고 파크를 방문한다. 그러나 롯데월드나 에버랜드는 축제, 포토존을 제외하고 시설물 측면에서 투자가 이루어진다는 느낌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상승하는 입장료와 유료로 전환된 매직패스 서비스가 반발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롯데월드는 공간적 이점이 아주 많은 테마파크다. 접근성이 매우 좋아 쉽게 올 수 있으며 실내 테마파크로 기상의 영향도 덜 받아 인기가 많을 수 밖에 없다. 그러나 테마파크 기획자 지망생 입장으로서 아쉬운 부분도 존재한다.
Main Show에서 구역과 시설물 소개를 통해 롯데월드가 인기 있는 부분과 테마파크로서 아쉬운 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 Theme IN. All Rights Reserved.
모든 글과 자료는 무단 도용, 허가 없는 복사, 2차 수정을 금지합니다.
1) 김명석. (2017). 서사 공간으로서의 테마파크 연구 -롯데월드를 중심으로 -. 人文科學硏究, 36(0), 127-157.
2) AECOM Theme Index 2022, p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