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롯데월드 키디존 리뉴얼 프로젝트:: 답사 후기 & 리뉴얼 초안 (1)

본문

다른 글 [테마파크 사례 분석:: 04 롯데월드] 부분에서 롯데월드에 대해 자세히 다루므로 이 글에서는 롯데월드 키디존 구역 답사와 간단히 롯데월드의 기존 테마가 어떤지만 설명하기로 한다.


 
롯데월드는 최초 세계최대의 실내 테마파크, 스토리가 담긴 공원

 

롯데월드는 놀이기구 중심의 유원지(amusement park)가 아니라 특정 테마에 따라 스토리가 묶여 건축물, 퍼레이드, F&B가 분포되어 있는 테마파크(theme park)로 분류한다. 개원 당시 롯데월드는 ‘작은 지구 마을(small world)’이라는 콘셉트로 '프랑스 구역'을 재현했으며, 대부분의 거리가 서유럽 분위기에 치중되어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어트랙션(초기에 도입한 자이로드롭, 자이로스윙, 자이로스핀)들은 국가별 특색을 반영하고 있지 않으며 90년대 중반부터의 잦은 리뉴얼로 정체성이 흐려졌다.


롯데월드를 평가한 일련의 말을 빌려보자면

 

오히려 파크가이드를 비교해 보면 유럽 거리를 몇 개 구역으로 나눈 공간 설명이 더 이상 등장하지 않고, 지하에 언더월드를 확장 개장하며 오히려 가상세계를 강조하고 있는 편이다.₁

 

모험과 신비의 나라, 꿈과 환상의 세계라는 콘셉트를 가지고 있는 롯데월드는 기존에 잡았던 유럽풍을 전면 리뉴얼하지 않고 재방문 욕구를 일으키기 위해서라면 유럽 테마를 유지하며 새로운 구역을 만들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롯데월드가 테마를 입히려는 시도를 그만둔 것은 아니다.


2022년 초반부터 롯데월드가 유튜브로 파크 내 어트랙션 스토리를 짧은 드라마 형식으로 올리는 ‘롯데월드라마’라는 콘텐츠를 진행하며 테마에 공들이나 싶었지만 전문가 의견에서는 테마파크라고 불리기엔 아직 아쉽다는 지적이 있다.

확실하지 않은 공간 콘셉트와 테마의 유무가 불분명한 어트랙션이 섞여있으며 짜임새 있는 스토리의 테마파크로 오기 보단 도심에 있어 접근성이 좋고, 시즌별 다양한 퍼레이드와 이벤트, 포토스폿(photo spot)을 위한 사람들의 발걸음이 더 많은 편이다. 하지만 아직은 매직캐슬만이 현 롯데월드의 두드러진 상징이며 미디어 맵핑과 포토존으로만 가끔 SNS에서 화제를 모을 뿐, 이를 바꿀 짜임새 있는 스토리의 구역 리뉴얼이 절실하다. 
 

 

현재 롯데월드 키디존의 특징

콘셉트

 

바다를 테마로 플랫라이드류의 어린이용 라이드 배치되어 있으며, 이는 도쿄디즈니씨(Tokyo DisneySea)의 머메이드라군에 기반되어 있어, 프랑스거리라는 콘셉트와 이질적이다.

 

더보기

키디존 리뉴얼에 앞서 키디존 기획 구역을 '기획구역'이라고 부르겠다.

 

답사 후 정리한 현 롯데월드 키디존의 공간적 특징은 아래와 같았다.

 

  • 지하 매표소에서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오면 바로 마주하는 공간
  • 파라오의 분노 등의 상층 구조물로 인해 프랑스존 1층 부근(기획구역)이 채광이 잘 안 듦
  • 지하 주차장 구역까지 수직 확장 가능(현재는 파크로 미사용)
  • 입구가 안쪽에 있어 접근성이 떨어짐
  • 중앙에 후렌치레볼루션 루프 구간의 큰 구조물이 세워져 있음
  • 진입동선은 주로 회전목마 방향의 진입로가 활용

(왼, 중앙) 후렌치 레볼루션 루프 구조물 아래 키디존 (오) 키디존 뒤편 엘리베이터

 

계획

상부(4F)가 프랑스구역임을 고려해 18세기 유럽의 활발했던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하며, 채광이 잘 들어오지 않는 공간특성을 이용해 비일상성을 극대화하고 롯데월드의 전반적인 콘셉트인 '신비함'을 선사하기에 스팀펑크(steampunk) 세계관이 적합하다고 여겼다. 이는 현재 지하층에 위치한 '플라이벤처 어트랙션'과 연계하여 새롭게 테밍 할 수 있으며 지하주차장까지 공간을 확장하여 메인 어트랙션을 만들기에 적합했다. 이외에도 어트랙션 앞, 기획구역 입구에 MD 샵, 메인 어트랙션 1개, F&B 1곳으로 구상하였다.

 

© 롯데월드 홈페이지. 플라이 벤처

 

진입동선

현재 키디존으로의 출입구는 손님 상담실 방향과 회전목마 방향 총 2가지다.

© 롯데월드 홈페이지 / ⓵ 메인 회전목마 오른쪽에 입구 위치 / ⓶ 손님 상담실에서 나가는 방향


손님 상담실 방향이 파크 메인과 연결되어 밝은 느낌의 메인 구역과 기획구역의 어두운 느낌의 대비가 효과적일 듯했지만, 잘 이용하지 않는 통로이며 기회구역과 기획구역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있는 손님과 자연스러운 연결이 어려워, 출구는 입구와 동일한 곳으로 지정하기로 했다.

 

또한 회전목마 방향 동선으로 진입하면 점진적으로 테마구역에 접근가능하여 시퀀스가 다채롭고 후렌치레볼루션 루프 구간을 정면으로 볼 수 있는 등 테마구역을 직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어 입구로 적절하다고 생각했다.

 

테마 구역 콘셉트. STEAMPUNK & 컬러코드

 

Steampunk
SF의 하위 장르. 주로 18~19세기(증기기관차가 도입된 영국 산업혁명 시기)를 배경으로, 그 시절에 21세기 기술이 도입된 모습을 상상하여 그려낸 작품을 의미한다.

 
키디존의 콘셉트는 스팀펑크로, 18세기 산업혁명 당시의 뿌연 연개가 가득한 거리, 새로운 기계에 대한 두려움 등을 담아 ‘신비함’을 방문객에게 선사한다. 다양한 시설물 중 메인 어트랙션은 ‘인류의 미래를 풍요롭게 해 줄 새로운 기계를 개발하는 비밀스러운 연구소’를 테마로 하여 테마구역과 자연스럽게 어울리도록 했다.


세부 콘셉트. 만국박람회

18 - 19세기의 화려한 기술의 발전을 공개하는 세계 각국의 전시회

 

앞서 언급한 것처럼 최초 롯데월드 설계 방향은 '작은 지구 마을'이었다. theme IN의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기존 설계 방향을 살려 전세계 국가들이 참여하는 만국 박람회를 세부 콘셉트로 선정하였다. 이 곳에서 방문객들은 스팀펑크 시대의 만국박람회에 방문하여 인류의 발달된 미래를 보며 환상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The Illustrated Exhibitor  published in July 1851 / Les Grands Magasins du Printemps – 오래된 유리 지붕과 계단 (철거)

 

기획구역 컬러코드

© PINTEREST. Bradbury Building - Wikipedia <테마 색상>

 


 

이렇게 콘셉트를 STEAMPUNK로 정했는데 자세한 스토리와 스토리에 따른 공간 구성은 다음 글에서 자세하게 적어보도록 하겠다.

 

 

1. 김명석. (2017). 서사 공간으로서의테마파크 연구 - 롯데월드를 중심으로 -. 人文科學硏究, 36(0), 127-157.
2. https://youtu.be/OjvmHCoDn7A <롯데월드라마. 플라이벤처>
3. Naver 국어 사전

 


 


 

© Theme IN. All Rights Reserved.

모든 글과 자료는 무단 도용, 허가 없는 복사, 2차 수정을 금지합니다. 

관련글 더보기